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UI/UX 공부기록

[본캠프 5주차] 수요일 TIL 본문

본캠프

[본캠프 5주차] 수요일 TIL

hyunjiii 2024. 11. 20. 19:39

11/20 일일 목표📝


디자인 카타

UX기획 및 리서치 5주차 강의듣기

5주차 숙제

 


 

 

📖 오늘 배운 내용

 

 사용자 테스트란?

  • 제품이나 서비스의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문제점과 개선점을 발견하기 위해 진행하는 테스트
  • 제품이나 서비스 개선 전에 진행하면 유저가 불편해하는 부분을 파악할 수 있고, 개선 후에 진행하면 유저가 어떻게 사용하는지 파악하는데에 도움이 된다.

 

사용자테스트의 중요성

  • 우리는 사용자가 아니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의 관점과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
  •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경험을 제공하면 만족도가 높아지고, 고객들의 충성도가 높아진다.
  • 사용자 테스트에서 얻은 데이터를 통해 객관적인 개선 방향을 정할수있다

사용자테스트의 구성요소

1. 진행자 : 참가자에게 테스트의 목적과 절차안내

2. 테스크 : 참가자가 테스트과정중에 현실적으로 수행할수있는 활동으로 구성

3. 참가자 : 유저를 대표해야하므로 관련 제품이나 서비스의 경험이 있는 사람으로 구성하거나, 유저 페르소나에 맞는 사람으로 선정해야한다.

사용성 테스트 준비과정

1. 사용성 테스트 목적설정

2. 참여자 모집 & 선별

3. 테스크 선정

4. 사용성 테스트 시나리오 작성

5. 파일럿테스트 < 실제 테스트환경과 동일한 환경에서 사전테스트를 미리 진행하는것

 

사용성 테스트 실행과정

1. 사용성테스트의 목적, 진행방법, 주의사항 등을 참가자에게 안내한다.

2. 참가자가 수행해야할 테스크를 안내한다.

3. 참가자는 안내받은 테스크를 실행한다 (Think Aloud : 참가자에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말로 표현해줄것을 요청함)

4. 사후 인터뷰 (참가자들의 이용 만족도 측정, 테스크가 종료 된 후에 진행하는게 바람직)

5. 마무리 (참여보상 증정)

 

 

Think Aloud 를 통해 얻을수 있는 정보

1. 사용자가 특정기능을 사용하는 이유와 논리 이해가능

2. 사요자가 혼란을 겪거나 멈추는 부분을 명확히 파악가능

3. 사용자가 기능이나 인터페이스에 대해 예상한 것과 실제경험이 어떻게 다른지 확인가능

4. 사용자가 작업을 완료하기 위해 어떤 단계를 거쳤는지 알수있음

5.  사용자의 감정적 반응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

 

주의할점!

  • 참가자에게 말을 많이 하도록 유도함
  • 참가자가 실수를 한다고해서 고쳐주려고 하거나 힌트를 제공해서는 안됨

 

사용성 테스트 결과 정리하기

문제점도출 - 원인도출 - 개선방향

 

문제점 도출 우선순위 논의 tip

  • 참가자의 이용만족도를 측정하여 만족도가 높은경우와 낮은 경우를 파악
  • 참가자의 테스크 결과 여부를 측정하여 실패비율이 높은 경우 파악
  • 참가자의 테스크 이동동선을 살펴 장애요인이 있는지 원인파악

 

 

닐슨의 10가지 사용성 휴리스틱

  1. 시스템 상태의 가시성 (Visibility of system status) : 사용자가 현재 무엇을 하는지 시스템상태를 알려주어야함
  2. 시스템과 실제 세상 매칭 (Match between system and the real world) : 시스템은 사용자가 실제 생활에서도 사용하는 것들로 구성이 되어야함
  3. 사용자 통제와 자유 (User control and freedom) : 사용자가 시스템을 사용하다가 실수했을 때도 자신의 행동을 되돌리거나 재실행할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함
  4. 일관성과 표준 (Consistency and standards) : 사용자가 혼란스럽지 않도록 시스템 전반적으로 일관된 방식으로 수행되어야 하고, 플랫폼의 표준을 따라야 함.
  5. 오류 방지 (Error prevention) : 실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사전 경고나 확인 기능을 제공해야 함
  6. 기억보다는 인지 (Recognition rather than recall) : 사용자가 필요한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떠올리고 단계를 따라갈 수 있도록 쉽게 설계해야함
  7. 유연성과 효율성 (Flexibility and efficiency of use) : 초보자와 숙련된 사용자를 모두 만족시키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
  8. 심미적이고 최소한의 디자인 (Aesthetic and minimalist design) : 필요한 정보만 제공하고, 불필요한 요소는 제거해 단순한 디자인 유지.
  9. 유저가 에러를 전달할때 상황, 이유, 해결책을 말하기 (Help users recognize, diagnose, and recover from errors) : 오류 메시지는 명확하고 친절하며, 사용자가 스르로 인식하고 대처할수 있도록 전달해야함.
  10. 문제해결과 문서화 (Help and documentation) : 시스템 사용에 필요한 정보가 쉽게 접근 가능해야 함

 

 

 


 

👩‍🏫 오늘 진행하며 어려웠던 부분

 

개념적으로는 사용자를 이해하기 위해 중요한 과정이라는 것은 알겠지만, 그 중요성을 실무에서 어떻게 적용할수있을지 고민이 되었다. 5주차 과제로 테스크 질문을 적어봤는데 테스트시나리오를 작성할때 너무 주관적으로 적은건 아닌지 걱정이되었다. 실제로 내가 개발하면 질문이 더 잘 적힐것같다는 생각이들었다.

닐슨의 휴리스틱 평가 기준은 명확해 보였지만 각 문제의 심각도를 나누는게 어려울것같다. 내 기준으로는 치명적이라고 느껴지는문제가 사용자에게는 덜 중요하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다. 

 

 

 

 

 


 

👀 어려웠던 부분을 어떻게 해결했을까?

 

오늘 공부는 머리가 꽤 복잡했지만 이론만 공부할 때는 어렵게 느껴졌던 것도, 실제로 사용성 테스트 시나리오를 작성해보고 테스크를 작성해보면서 과제를 해보니  조금씩 이해가 됐다. 또, 사용성 테스트와 휴리스틱 평가가 단순히 문제를 발견하는 과정이 아니라, 사용자 중심의 사고를 훈련시키는 과정이라는 걸 깨달았다!

 

 

 

 

 

 

'본캠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캠프 5주차] 금요일 WIL  (0) 2024.11.22
[본캠프 5주차] 목요일 TIL  (2) 2024.11.21
[본캠프 5주차] 화요일 TIL  (1) 2024.11.19
[본캠프 5주차] 월요일 TIL  (2) 2024.11.18
UX 기획 및 리서치 2주차 과제  (0) 2024.11.18